산업부, 본격 관세협상 앞두고 공청회…"농업 분야 민감성·특수성 감안"KIEP "한미관세협상 타결 땐 실질 GDP 최대 0.7%p 피해 감소"한미 관세협의 공청회(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30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한미 관세조치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패널들이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2025.6.30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은 관철될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해달라. 한우인들의 목소리다."(한우업계 관계자) "알래스카 에너지 서밋에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관련 미국과 각국 간 어떤 합의 내용이 있었는지 공개해달라"(에너지 업계 관계자) 30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에 영향을 받는 각 분야의 이해 관계자들이 참석해 앞으로 본격화할 대미 협상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인 7월 8일을 앞두고 본격적인 한미 관세 협의에 착수하면서 미국의 관세 조치가 국민 경제에 미칠 영향을 놓고 대국민 의견 수렴에 나섰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간 3차례 진행된 한미 기술협의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진행된 각료급 회의 등을 통해 한미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요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미국 상품 구매 확대부터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 구글 정밀 지도 반출 등 비관세장벽까지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 제시된 거의 모든 사항이 논의 테이블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관세 이슈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한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 등에도 백악관이 직접 의지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한미 관세조치 협의 공청회장 앞 구호(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30일 한미 관세조치 협의 관련 공청회가 열린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앞에서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이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관세폭탄, 경제주권침해 저지'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6.30 seephoto@yna.co.kr 이 같은 미국의 요구 사항은 대외경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산업부, 본격 관세협상 앞두고 공청회…"농업 분야 민감성·특수성 감안"KIEP "한미관세협상 타결 땐 실질 GDP 최대 0.7%p 피해 감소"한미 관세협의 공청회(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30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한미 관세조치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패널들이 종합토론을 하고 있다. 2025.6.30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제한은 관철될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해달라. 한우인들의 목소리다."(한우업계 관계자) "알래스카 에너지 서밋에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관련 미국과 각국 간 어떤 합의 내용이 있었는지 공개해달라"(에너지 업계 관계자) 30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의 관련 공청회'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에 영향을 받는 각 분야의 이해 관계자들이 참석해 앞으로 본격화할 대미 협상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인 7월 8일을 앞두고 본격적인 한미 관세 협의에 착수하면서 미국의 관세 조치가 국민 경제에 미칠 영향을 놓고 대국민 의견 수렴에 나섰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간 3차례 진행된 한미 기술협의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진행된 각료급 회의 등을 통해 한미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요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미국 상품 구매 확대부터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 구글 정밀 지도 반출 등 비관세장벽까지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 제시된 거의 모든 사항이 논의 테이블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관세 이슈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한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 등에도 백악관이 직접 의지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한미 관세조치 협의 공청회장 앞 구호(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30일 한미 관세조치 협의 관련 공청회가 열린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앞에서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이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관세폭탄, 경제주권침해 저지'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6.30 seephoto@yna.co.kr 이 같은 미국의 요구 사항은 대외경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한 만큼